해저이야기사이트 ┩ 17.rnf665.top ┩ 슬롯게임 실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은세차 작성일25-11-07 22:47 조회159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86.rqy115.top
87회 연결
-
http://63.rzz283.top
84회 연결
본문
【22.rnf665.top】
온라인 슬롯 공략 모바일릴게임 종류 체리마스터게임 온라인신천지게임 신천지게임다운로드 빠친코게임 프라그마틱 무료스핀 오션파라 다이스게임다운로드 일본빠칭코게임 오락실슬롯머신 오리 지날황금성 체리게임바둑이 무료슬롯사이트 신천지릴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조작 릴게임릴게임갓 황금성게임공략방법 야마토게임장주소 무료충전현금게임 오리 지날 바다 우주전함야마토2199 오션파라 다이스게임다운로드 강원랜드 잭팟 후기 바다 이야기 다운 용의 눈 게임 야마토무료게임 황금성예시 바다이야기 기프트 전환 야마토 릴게임 야마토예시 바다이야기 하는법 인터넷 바다이야기 무료충전야마토 슬롯게임 하는법 바다이야기 고래 바다이야기 사이트 릴게임이벤트 게임황금성 체리게임 jQuery 슬롯 머신 파칭코하는법 용의 눈 게임 바다이야기먹튀신고 바다이야기 조작 일본빠찡코 88오락실릴게임 잭팟 오션슬롯먹튀 황금성 다운 바다이야기슬롯 모바일 게임 공략 황금성나비 황금성 게임랜드 백경예시 황금성게임장주소 손오공게임다운로드 오션파라다이스하는방법 카지노 슬롯머신 전략 슬롯게임 하는법 오리지널 바다이야기 빠칭코게임다운로드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백경게임예시 바다이야기 모바일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다빈치다운로드 온라인슬롯사이트 온라인신천지게임 야마토2 야마토무료게임 백경게임다운로드 온라인예시게임 온라인오션게임 릴신천지 일본야마토게임 야마토카지노 릴게임 황금성릴게임 오락실게임 신천지인터넷게임 슬롯 릴 게임 릴게임추천 다빈치 릴게임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바다이야기apk 알라딘 게임 다운 사다리게임주소 황금성다운 알라딘릴게임 슬롯머신 무료 야마토게임다운 무료충전야마토 파칭코 릴게임모바일 성인오락황금성 슬롯버그 오공슬롯 몰게임 릴게임릴게임갓 모바일릴게임 종류 골드몽 온라인슬롯사이트 황금성3 바다이야기 모바일게임 체리마스터 릴게임 백경게임 하는곳주소 알라딘릴게임 사이트 릴게임골드몽 야마토카지노 황금성오락실 손오공릴게임다운로드 야마토2게임 야마토 동영상 바다이야기 pc용 메가슬롯 빠칭코게임 릴게임갓 슬롯릴게임 온라인야마토 파친코게임다운로드 한게임바둑이 릴게임 황금성 모바일릴게임종류 신천지인터넷게임 황금성게임후기 모바일 바다 이야기 다운 한화오션이 건조한 장보고 III Batch-2 잠수함. (한화오션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8.26/뉴스1
(서울=뉴스1) 허고운 김예원 기자 = 정부가 2020년대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할 경우 2030년대 중후반에는 원자력추진잠수함(원잠) 선도함 건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을 내렸다. 군에서는 한국의 원잠 기술력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숨기고 있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그간 정부가 여러 '비공개 프로젝트'로 원잠 관련 노하우와 기술력을 상당한 수준으로 갖췄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형 원잠의 건조 장소를 미국의 '필리조선소'로 지목했음에도, 정부가 '국내 건조' 입장을 고수하는 것도 기술력에 자동차 유지비 대한 자신감에 따른 것이라는 관측이 7일 제기된다. 방산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선 "핵심 기술은 갖고 있고, 남은 것은 연료와 제도적 절차뿐"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7일 '한국의 원잠 기술 수준'에 대한 질문에 "현재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안전성에 대한 부분을 포함해 기술의 완성도를 높여나가기 위한 월복리계산기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라고 답했다.
국방부가 '기술의 완성도'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미 일정 수준의 기술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원종대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지난 4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현재 원자로, 무장 체계 등 원잠 건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 중"이라고 보고하기도 했다.
정부와 군이 대출금리상승 자신감을 표출한 배경에는 '끊기지 않은 30년의 연구'가 있다. 한국의 원잠 연구는 2003년 노무현 정부 시절 해군이 추진했던 '362 사업단'에서 출발했다. 당시 해군은 원잠 개발을 목표로 세웠고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 참여해 잠수함용 소형원자로 설계를 진행했다.
이 사업은 2004년 사업단이 해체되며 공식적으 수출입은행 로 종료했으나, 이후에도 군과 방산업계에선 기술 개발을 꾸준히 이어갔다. 박근혜 정부 때도 관련 연구가 진행됐고, 문재인 정부 때는 미국과 원잠 협의가 재개되며 한때 사업이 탄력을 받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경북 경주에 조성 중인 한국원자력연구원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는 다목적 소형연구로(ARA연구로) 건설이 추진되는데, 이를 통해 선박용 소형원자로(A 지원내용 MR)를 만들어 원잠 등 군사 목적에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국방 소식통은 "한국은 원잠 추진을 공식화하지 않았던 시절에도 관련 연구를 완전히 중단한 적이 없다"라며 "사업이 좌초된 뒤에도 설계와 원자로 기술 연구는 형태를 바꿔 이어져 왔고, 특히 원자로 관련 기술은 업계 자체에서도 상당 부분 축적된 상태"라고 말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국회(정기회) 국방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5/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연료 문제만 해결하면 돼…설계는 '사실상 시작'
방산업계 관계자 역시 "소형원자로를 직접 생산하지 않았을 뿐, 잠수함 선체 설계와 체계통합 등 핵심 역량은 갖고 있다"라며 "비닉(秘匿)사업으로 묶여 공개가 어려운 기술들이 실제로는 상당히 진척돼 있다"라고 밝혔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ADD는 국내 한 업체에 원잠 설계 연구용역을 맡기기도 했다. 함정은 개념설계, 기본설계, 상세설계, 초도함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데, 내년 상반기까지는 기본설계를 마무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원잠 건조를 위한 방사능 차폐시설과 안전시설, 핵연료 설치법 등의 기술적 문제는 이미 극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관계자는 "기술을 갖고 있는 것과 실제로 해보는 것에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기회가 생기면 도전한다'라는 의미로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능력보다 과장돼 전달될 여지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최일 잠수함연구원장(예비역 해군 대령, 손원일함 초대 함장)은 "우리는 원잠을 포기한 적이 없고, 이게 연구의 영역에서 해왔느냐 아니면 실체의 사업에서 해왔느냐의 차이"라며 "하지만 '좋은 잠수함'을 만들 수 있을지는 생각을 조금 달리 해야 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362사업단장을 지낸 문근식 한양대 특임교수(예비역 해군 대령)는 "우리는 20년 이상 연구를 해왔고, 돈도 수천억 원 들였다"라며 "이제 거의 다 됐기 때문에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이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잠 연료 도입 요청을 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처럼 기술적 토대가 갖춰졌다는 평가가 잇따르면서 정부의 '국내 건조' 추진 기조도 힘을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건조 장소로 지목한 필리조선소는 상선 위주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원잠 건설을 위한 시설을 구축하려면 수년의 시간이 필요한 데다, 여기서 만들 경우 우리 군이 '미국산 원잠'을 수입하는 형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2025.1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美와 실무 협상 '줄다리기' 예상…"한국이 이익 줄 부분 어필해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원잠은 우리가 건조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라고 밝혔고, 안규백 국방부 장관도 5일 국방위원회에서 "우리가 30년 이상 기술 축적과 연구를 해왔기 때문에 국내에서 건조하는 게 합당하다"라고 말했다.
미국 행정부 내에서는 한국의 원잠 도입에 대해 이견이 도출된 것으로 전해지는 상황이다. 국방부는 지난 4일 헤그세스 장관의 방한 때 "적극 지원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에너지와 상무부에서 다른 의견을 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한미 간 관세·안보 협상의 결과를 담은 '팩트시트' 도출이 늦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앞으로 원잠 관련 한미의 실무 협상이 수월하진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필리조선소를 지목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국내 건조를 주장하며 협상 개시와 동시에 불협화음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는 한국이 미국 산업 생태계에 기여하라는 신호로 읽힌다"라며 "우리가 일정 부분 투자를 통해 미국 측에 이익을 제공하면 협력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원잠 도입 사업과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이 큰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사업과의 연계 지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은 한국의 기술 수준을 과소평가하지 않으며, 이미 원자로·체계통합·건조 역량이 있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라며 "문제는 그 기술이 핵연료와 결합될 때의 외교적 파급력"이라고 말했다.
문근식 교수는 "미국도 부처별로 이견이 있는 건 어쩔 수 없지만, 우리는 북한의 핵 위협이 고도화해 한미 안보에 공동 위협이 된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라며 "이를 잘 어필하면 행정부 내 반대가 있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조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hgo@news1.kr<용어설명>■ 비닉숨기고(秘) 감춘다(匿)는 의미로 군 용어로 주로 쓰인다.
오리 지날황금성 ┩ 45.rnf665.top ┩ 황금성 게임
하이로우하는법 ┩ 42.rnf665.top ┩ 릴게임알라딘
카지노 슬롯머신 전략 ┩ 56.rnf665.top ┩ 최신인터넷게임
바다이야기 먹튀사이트 ┩ 37.rnf665.top ┩ 온라인 슬롯 공략
온라인 슬롯 공략 모바일릴게임 종류 체리마스터게임 온라인신천지게임 신천지게임다운로드 빠친코게임 프라그마틱 무료스핀 오션파라 다이스게임다운로드 일본빠칭코게임 오락실슬롯머신 오리 지날황금성 체리게임바둑이 무료슬롯사이트 신천지릴게임 프라그마틱 슬롯 조작 릴게임릴게임갓 황금성게임공략방법 야마토게임장주소 무료충전현금게임 오리 지날 바다 우주전함야마토2199 오션파라 다이스게임다운로드 강원랜드 잭팟 후기 바다 이야기 다운 용의 눈 게임 야마토무료게임 황금성예시 바다이야기 기프트 전환 야마토 릴게임 야마토예시 바다이야기 하는법 인터넷 바다이야기 무료충전야마토 슬롯게임 하는법 바다이야기 고래 바다이야기 사이트 릴게임이벤트 게임황금성 체리게임 jQuery 슬롯 머신 파칭코하는법 용의 눈 게임 바다이야기먹튀신고 바다이야기 조작 일본빠찡코 88오락실릴게임 잭팟 오션슬롯먹튀 황금성 다운 바다이야기슬롯 모바일 게임 공략 황금성나비 황금성 게임랜드 백경예시 황금성게임장주소 손오공게임다운로드 오션파라다이스하는방법 카지노 슬롯머신 전략 슬롯게임 하는법 오리지널 바다이야기 빠칭코게임다운로드 온라인 슬롯 게임 추천 백경게임예시 바다이야기 모바일 바다이야기 무료게임 다빈치다운로드 온라인슬롯사이트 온라인신천지게임 야마토2 야마토무료게임 백경게임다운로드 온라인예시게임 온라인오션게임 릴신천지 일본야마토게임 야마토카지노 릴게임 황금성릴게임 오락실게임 신천지인터넷게임 슬롯 릴 게임 릴게임추천 다빈치 릴게임 바다이야기 무료머니 바다이야기apk 알라딘 게임 다운 사다리게임주소 황금성다운 알라딘릴게임 슬롯머신 무료 야마토게임다운 무료충전야마토 파칭코 릴게임모바일 성인오락황금성 슬롯버그 오공슬롯 몰게임 릴게임릴게임갓 모바일릴게임 종류 골드몽 온라인슬롯사이트 황금성3 바다이야기 모바일게임 체리마스터 릴게임 백경게임 하는곳주소 알라딘릴게임 사이트 릴게임골드몽 야마토카지노 황금성오락실 손오공릴게임다운로드 야마토2게임 야마토 동영상 바다이야기 pc용 메가슬롯 빠칭코게임 릴게임갓 슬롯릴게임 온라인야마토 파친코게임다운로드 한게임바둑이 릴게임 황금성 모바일릴게임종류 신천지인터넷게임 황금성게임후기 모바일 바다 이야기 다운 한화오션이 건조한 장보고 III Batch-2 잠수함. (한화오션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8.26/뉴스1
(서울=뉴스1) 허고운 김예원 기자 = 정부가 2020년대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할 경우 2030년대 중후반에는 원자력추진잠수함(원잠) 선도함 건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을 내렸다. 군에서는 한국의 원잠 기술력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숨기고 있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선 그간 정부가 여러 '비공개 프로젝트'로 원잠 관련 노하우와 기술력을 상당한 수준으로 갖췄을 것으로 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형 원잠의 건조 장소를 미국의 '필리조선소'로 지목했음에도, 정부가 '국내 건조' 입장을 고수하는 것도 기술력에 자동차 유지비 대한 자신감에 따른 것이라는 관측이 7일 제기된다. 방산업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선 "핵심 기술은 갖고 있고, 남은 것은 연료와 제도적 절차뿐"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7일 '한국의 원잠 기술 수준'에 대한 질문에 "현재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안전성에 대한 부분을 포함해 기술의 완성도를 높여나가기 위한 월복리계산기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라고 답했다.
국방부가 '기술의 완성도'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이미 일정 수준의 기술을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원종대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은 지난 4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현재 원자로, 무장 체계 등 원잠 건조에 필요한 핵심 기술을 확보 중"이라고 보고하기도 했다.
정부와 군이 대출금리상승 자신감을 표출한 배경에는 '끊기지 않은 30년의 연구'가 있다. 한국의 원잠 연구는 2003년 노무현 정부 시절 해군이 추진했던 '362 사업단'에서 출발했다. 당시 해군은 원잠 개발을 목표로 세웠고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국원자력연구원 등이 참여해 잠수함용 소형원자로 설계를 진행했다.
이 사업은 2004년 사업단이 해체되며 공식적으 수출입은행 로 종료했으나, 이후에도 군과 방산업계에선 기술 개발을 꾸준히 이어갔다. 박근혜 정부 때도 관련 연구가 진행됐고, 문재인 정부 때는 미국과 원잠 협의가 재개되며 한때 사업이 탄력을 받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경북 경주에 조성 중인 한국원자력연구원 문무대왕과학연구소에는 다목적 소형연구로(ARA연구로) 건설이 추진되는데, 이를 통해 선박용 소형원자로(A 지원내용 MR)를 만들어 원잠 등 군사 목적에 활용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 국방 소식통은 "한국은 원잠 추진을 공식화하지 않았던 시절에도 관련 연구를 완전히 중단한 적이 없다"라며 "사업이 좌초된 뒤에도 설계와 원자로 기술 연구는 형태를 바꿔 이어져 왔고, 특히 원자로 관련 기술은 업계 자체에서도 상당 부분 축적된 상태"라고 말했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이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국회(정기회) 국방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5/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연료 문제만 해결하면 돼…설계는 '사실상 시작'
방산업계 관계자 역시 "소형원자로를 직접 생산하지 않았을 뿐, 잠수함 선체 설계와 체계통합 등 핵심 역량은 갖고 있다"라며 "비닉(秘匿)사업으로 묶여 공개가 어려운 기술들이 실제로는 상당히 진척돼 있다"라고 밝혔다.
방산업계에 따르면 ADD는 국내 한 업체에 원잠 설계 연구용역을 맡기기도 했다. 함정은 개념설계, 기본설계, 상세설계, 초도함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데, 내년 상반기까지는 기본설계를 마무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원잠 건조를 위한 방사능 차폐시설과 안전시설, 핵연료 설치법 등의 기술적 문제는 이미 극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이 관계자는 "기술을 갖고 있는 것과 실제로 해보는 것에 차이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특히 기업 입장에서는 '기회가 생기면 도전한다'라는 의미로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능력보다 과장돼 전달될 여지도 있다"라고 덧붙였다.
최일 잠수함연구원장(예비역 해군 대령, 손원일함 초대 함장)은 "우리는 원잠을 포기한 적이 없고, 이게 연구의 영역에서 해왔느냐 아니면 실체의 사업에서 해왔느냐의 차이"라며 "하지만 '좋은 잠수함'을 만들 수 있을지는 생각을 조금 달리 해야 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362사업단장을 지낸 문근식 한양대 특임교수(예비역 해군 대령)는 "우리는 20년 이상 연구를 해왔고, 돈도 수천억 원 들였다"라며 "이제 거의 다 됐기 때문에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했고, 이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원잠 연료 도입 요청을 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이처럼 기술적 토대가 갖춰졌다는 평가가 잇따르면서 정부의 '국내 건조' 추진 기조도 힘을 얻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건조 장소로 지목한 필리조선소는 상선 위주의 시설을 갖추고 있어 원잠 건설을 위한 시설을 구축하려면 수년의 시간이 필요한 데다, 여기서 만들 경우 우리 군이 '미국산 원잠'을 수입하는 형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2025.1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美와 실무 협상 '줄다리기' 예상…"한국이 이익 줄 부분 어필해야"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원잠은 우리가 건조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라고 밝혔고, 안규백 국방부 장관도 5일 국방위원회에서 "우리가 30년 이상 기술 축적과 연구를 해왔기 때문에 국내에서 건조하는 게 합당하다"라고 말했다.
미국 행정부 내에서는 한국의 원잠 도입에 대해 이견이 도출된 것으로 전해지는 상황이다. 국방부는 지난 4일 헤그세스 장관의 방한 때 "적극 지원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에너지와 상무부에서 다른 의견을 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한미 간 관세·안보 협상의 결과를 담은 '팩트시트' 도출이 늦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는 앞으로 원잠 관련 한미의 실무 협상이 수월하진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필리조선소를 지목한 상황에서 우리 정부가 국내 건조를 주장하며 협상 개시와 동시에 불협화음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는 한국이 미국 산업 생태계에 기여하라는 신호로 읽힌다"라며 "우리가 일정 부분 투자를 통해 미국 측에 이익을 제공하면 협력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원잠 도입 사업과 트럼프 대통령이 관심이 큰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사업과의 연계 지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은 한국의 기술 수준을 과소평가하지 않으며, 이미 원자로·체계통합·건조 역량이 있다는 걸 알고 있을 것"이라며 "문제는 그 기술이 핵연료와 결합될 때의 외교적 파급력"이라고 말했다.
문근식 교수는 "미국도 부처별로 이견이 있는 건 어쩔 수 없지만, 우리는 북한의 핵 위협이 고도화해 한미 안보에 공동 위협이 된다는 점을 설득해야 한다"라며 "이를 잘 어필하면 행정부 내 반대가 있더라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조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hgo@news1.kr<용어설명>■ 비닉숨기고(秘) 감춘다(匿)는 의미로 군 용어로 주로 쓰인다.